본문 바로가기
A카테고리

움직임에 근거한 관절의 분류

by 당근펭 2022. 7. 19.

관절들을 분류하는 한 가지 방법은 그 관절의 움직임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다. 이러한 체계에 근거하여, 인체 내에는 2가지의 관절 유형인 부동관절과 가동관절이 있다.

 

부동관절

 

부동관절(synarthrosis)은 움직임이 없거나 약간의 움직임만 허용되는 뼈들 사이의 관절이다. 관절을 강화하는 관절우위 결합조직의 우세한 유형에 근거해, 부동관절은 섬유관절과 연골관절로 좀 더 세분될 수 있다.

 섬유관절(fibrous joint)은 대개 고농도의 아교질을 가지고 있는 특수화된 치밀결합조직에 의해 고정된다. 섬유관절의 예들로는 머리뼈의 봉합, 먼쪽정강종아리관절, 그리고 뼈사이 막에 의해 강화되는관절들이 있따. 이와는 대조적으로 연골관절(cartilaginous joint)은 흔히 아교질과 혼합된 다양한 형태의 유연한 섬유연골이나 유리연골에 의해 고정된다.연골관절은 두덩뼈결합, 척추의 척추뼈몸통사이관절, 그리고 복장뼈몸통자루관절과 같이 대개 인체의 중간선에 위치한다.

 부동관절의 기능은 뼈들 사이를 강력하게 연결하고 힘을 전달하는 것이다. 이러한 관절들은 대개 관절주위 결합조직에 의해 잘 지지되며, 일반적으로 아주 적은 움직임이 허용된다.

 

가동관절: 윤활관절

가동관절(diarthrosis)은 중간 정도에서 광범위한 운동까지 허용되는 관절이다. 이러한 관절들은 윤활액으로 차 있는 공간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가동관절은 흔히 윤활관절(synovial joint)이라 언급된다. 윤활관절들은 근육뼈대계통 내의 관절 대부분을 구성한다.

 가동관절 또는 윤활관절은 움직임을 위한 특수화된 7개의 요소를 항상 가지고 있다. 관절연골은 뼈의 관절면 끝부분을 덮고있다. 관절은 관절주머니를 형성하고 있는 결합조직의 주변막에 의해 감싸여 있다. 관절주머니는 조직학적으로 구별되는 2개의 층으로 구성되어있다. 바깥층 또는 섬유층은 치밀결합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절주머니의 이러한 층은 뼈들 사이의 지지와 관절 내용물의 봉쇄를 제공한다.관절주머니의 속층은 윤활막 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3~10개의 세포층이 뺵빽이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 이런 특수화된 결합조직 내의 세포들은 약간의 점성도를 가지고 있는 맑거나 약간 노란색의 윤활액을 만들어 낸다. 윤활액은 히알루론산염과 윤활작용을 하는 다른 당단백질들을 포함한 혈장에서 발견되는 많은 단백질을 가지고 있다. 윤활액은 관절면들을 덮고 있다. 이러한 윤활액은 관절연골에 대한 영양의 공급은 물론 관절면들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킨다.

 인대(ligament)는 뼈들 사이를 붙잡아주는 곃합조직이기 떄문에, 과도한 움직임으로부터 관절을 보호해 준다. 인대의 두께는 관절에 부과된 기능적 요구에 따라 매우 달라진다. 대부분의 인대들은 관절주머니인대 아니면 관절주머니바깥인대로 설명된다. 관절주머니인대는 오목위팍인대와 무릎의 안쪽곁인대의 좀 더 깊은 쪽 섬유들과 같이 관절주머니를 덮어 관절주머니를 두껍게 한다. 관절주머니인대는 전형적으로 넓은 섬유들의 막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당기면 팽팽해져 2개 또는 3개의 운동면에서 움직임에 저항한다. 대부분의 관절주머니바깥인대는 띠와 같은 형태를 하고 있으며 관절주머니와는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분리되어 있다. 예를들어, 무릎의 가쪽곁인대와 머리목 영역의 날개인대를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런 분리된 인대들은 대개 1개 또는 2개의 운동면에서의 움직임을 저항하기에 적절한 방향을 향하고 있다.

 모세혈관과 함꼐 작은 혈관들은 관절주머니를 관통하여 관절주머니의 섬유층과 윤활막이 만나는 곳까지 간다. 감각신경들은 또한 통증과 고유감각을 위한 수용기들과 연결되어 관절주머니의 바깥층과 인대들을 신경지배한다.

 광범위한 관절의 형태와 기능적 요구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다른 요소들이 윤활관절 내에 존재하기도 한다. 관절속 원반 또는 반달연골은 관절면들 사이에 놓여있는 섬유연골성 패드이다. 이러한 구조물들은 관절의 일치성을 증가시키고 힘의 분산을 개선시킨다. 관절속원반과 반달연골은 신체의 몇몇 관절 내에서 발견된다.

 섬유연골의 관절테두리는 어꺠관절의 관절오목과 엉덩관절의 절구테두리의 가장자리로부터 뻗어 나온다. 이런 특수화된 구조는 이런 관절들의 오목면을 더 깊게 하고 관절주머니의 부착을 지지하고 두껍게 해준다. 지방패드는 그 크기가 다양하며 관절주머니 내에 위치하고 있는데, 흔히 그 위치는 섬유층과 윤활막 사이에 끼워져 있따. 지방패드는 팔꿉관절과 무릎관절에서 가장 두드러 진다. 이러한 지방패드는 뼈 외형의 불일치성에 의해 형성된 빈 관절 공간을 메우기 위해 관절주머니의 속면에 놓임으로써 관절낭을 비후하게 한다.이러한 의미로 볼떄, 지방패드는 적절한 관절 기능에 필요한 윤활액의 용량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패드가 커지거나 염증이 발생된다면, 관절의 역학을 변경시키게 된다.

 윤활주머니(bursa)는 흔히 지방패드가 인접한 곳에 형성된다. 윤활주머니는 가동관절의 윤활막이 확장되거나 윤활막에서 나온 작은 주머니 형태이다. 윤활주머니는 윤활액으로 차 있으며 대개 스트레스를 받는 곳에 존재한다.지방패드와 같이 힘의 흡수를 도와주며 관절 주의 결합조직을 보호한다. 예를들어, 어꺠에 있는 봉우리밑주머니는 어꺠뼈봉우리의 밑면과 위팔뼈머리 사이에 위치해 있다. 윤활주머니는 위팔뼈와 봉우리 사이에서 발생된 반복적인 압박에 의해 염증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을 흔히 봉우리및주머니염 이라 한다.

 운활막주름은 관절주머니의 가장 속층을 구성하고 있는 느슨하고 겹쳐져 있는 조직의 주름이다. 윤활막주름은 무릎관절 및 팔꿉관절과 같이 큰 관절주머니 표면적을 갖고 있는 관절에 일반적으로 존재한다. 주름은 윤활막의 표면적을 증가시켜 윤활막에 대한 과저한 긴장을 유발하지 않고 완전한 가동범위를 움질일 수 있도록 해준다. 이러한 주름이 너무 넓거나 염증에 의해 비후 또는 유착이 된다면, 주름에 의해 통증이 유발될 수 있거나 관절의 역학을 변경시킬 수 있게 된다. 

'A카테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육과 관절의 상호작용  (0) 2022.07.23
관절주위 결합조직의 조직학적 구성  (0) 2022.07.20
제네시스 G80  (0) 2020.03.06
벤츠 E클래스 페이스리프트  (0) 2020.03.06
20200305  (0) 2020.03.06

댓글